1988년 올림픽이 열린 해 상반기에는 지방신문이 경인일보 1개 사(社)였고 하반기에 경기일보, 기호일보, 인천일보가 창간되어 지방 4사 언론사 시대를 열었다.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초기에는 공직사회 모든 부서에 신문이 보급되지 못하였으므로 공보실의 신문 스크랩이 중요한 홍보 매체로 활용되었다.

여기에다 중앙지의 1~2단 기사, KBS, MBC, SBS의 뉴스를 모니터링해서 신문 스크랩 앞에 편철하여 배부하였으므로 언론의 집대성이랄 수 있는 스크랩은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IT 시대에는 신문 기사를 인터넷 글로 복사하기도 하고 방송에 나온 내용을 화면으로 스크랩하기도 하지만 1988년에는 신문 기사를 칼로 오려내어 풀로 붙이고 방송 기사는 글로 적어서 보고했다.

그리하여 아침 7시 반에 9명이 출근하여 조간신문을 면별로 정독하고 경기도 기사가 나온 것을 칼로 오렸다. 스포츠면에도 가끔 ‘경기’라는 글씨가 나와서 깜짝 놀라기도 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지방지, 중앙지, 방송 뉴스 내용을 스크랩하는 직원의 재량권이 크다는 점이다. 중앙지 신문을 다 정독해 보았지만, 경기도 기사가 없으면 정부 기사 중 행정 관련한 것이라도 하나 건져낸다. 어느 날에는 도정 기사가 많으므로 큰 기사만 스크랩하게 된다.

사실 신문 기사는 그 활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신문의 편집을 보는 것이다. 기사가 어느 면에 배치되었는가에 따른 경중을 가늠하고 다른 기사와의 배치 관계를 보면서 독자는 상황을 느끼게 된다. 문화면에 갈 기사가 1면에나 3면에 오는 경우가 있다. 1면에서는 3단 정도일 것 같은 기사가 3면의 7단 기사로 면 톱을 차지하기도 한다.

경기도청 실·국장 인사가 나면 1면에 3단 기사가 나고 정치면에 명단이 발표된다. 팀장급 인사는 인사란에 명단이 나온다. 부지사 발령 기사에는 사진이 필수이다. 언론사에서는 공무원 인사를 크게 취급한다. 공무원이라면 100% 신문 독자이기 때문일 것이다. 교육 공무원, 농협 등 금융기관, 병원, 대기업 인사도 마찬가지 대우를 받는다.

ChatGPT(DALL·E) 생성 이미지 (OpenAI)(사진=뉴스후플러스)
ChatGPT(DALL·E) 생성 이미지 (OpenAI)(사진=뉴스후플러스)

언론은 늘 독자를 생각한다. 이 기사를 보게 될 상대에 대한 배려와 고려가 깔려 있다. 그래서 기사를 볼 때 행간을 보라고 한다. 기사의 글과 글 사이에 비어 있는 좁은 행간에서 독자는 기자의 생각과 편집국 회의 속기록을 유추해 내야 한다.

이 기사의 제목이 이처럼 크게 나와야 했을까, 이 기사는 더 크게 나왔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오늘 새벽에 이 신문이 나오기 위해 어젯 밤 편집회의는 얼마나 치열했을까?

요즘에는 모니터에서 신문 화면을 클릭하는 순간 스크랩북에 올라온다. 방송 기사도 인터넷에서 클릭하면 동영상과 오디오가 함께 전송된다. 더 이상 칼잡이 스크랩북 담당자의 재량이 필요하지 않다. 다양한 매체가 수많은 정보를 보내준다.

그래서 요즘 정가에서는 거의 신문스크랩을 하지 않는다. 방송 모니터도 안 한다. 늘 손안의 모바일을 통해 이 세상 돌아가는 상황을 밤낮으로 모니터링한다. 그런데도 공보실 직원은 늘 바쁘니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이강석 작가 프로필

▲1958년 경기도 화성시 출생 ▲경기대학교행정대학원(석사) ▲공무원·공직에 45년간근무(경기도청, 화성·동두천·오산·남양주 시청 등) ▲문교부장관·내무부장관 표창, 대통령표창, 홍조근정훈장 ▲일반행정사, 사회복지사, 효지도사, 인성교육지도사 ▲출간: '공무원의 길 차마고도(2017)’‘홍보 이야기_기자 공무원 밀고 당기는(2020)’‘보리차 냄새와 옥수수 향기(2020)’‘여행의 여유(2023)’‘경기도 화성시 비봉노인대학(2024)’ 등

저작권자 © 뉴스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