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 기자나 특별히 언론인을 만나는 경우 우리 공무원은 늘 '선언후공(先言後公)'의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언론이 먼저요 공무원은 그다음이라는 뜻으로서 일단 이 세상사 어디에나 적용될 말이다.

즉 모든 일에 언론이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고 공무원은 독자 또는 국민의 뜻을 대변하는 언론의 비판과 指導鞭撻(지도편달)을 따르겠다는 다짐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언론에 항상 저자세를 취한다는 말은 아니다. 공무원으로서 자신의 업무에 자신이 있다면 언론인과 당당하게 맞서면 될 일이다. 그런데 男性(남성)은 아버지이고 女性(여성)은 어머니이듯이 언론은 評價(평가)이고 행정은 執行(집행)이다.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행정은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고 인허가를 결정하여야 하는 아주 많은 가지 수의 일을 하여야 한다. 반면 언론은 자신들이 하는 사업은 적은 편이고 늘 기사를 통해 행정을 평가하고 비판하고 공무원을 계도한다.

그래서 언론인은 일종의 직업병이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많다. 비가 오면 짚신 장사 아들이 걱정이요, 날씨가 청명 쾌청하면 나막신 장사 아들이 걱정인 것은 부모 마음이나 공무원 생각이나 같을 것이다.

그런데 언론인은 비 오는 날 만난 아들이 나막신이냐 짚신이냐에 따라 그날의 평가가 다를 수 있다. 즉 취재를 한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같은 사안도 공무원이 적극적으로 弘報戰略(홍보전략)을 펴면 홍보 기사가 되고 민원인이나 당사자인 國民(국민)이 어필하면 비판 기사가 된다. 범죄자가 늘어난 것을 보고 문화부 기자가 보면 사회적인 걱정이 되고, 사회부 기자가 보면 요즘 경찰과 검찰이 열심히 일한다고 평가를 할 수 있다.

Microsoft Copilot을 활용한 AI 생성 이미지(사진=뉴스후플러스)
Microsoft Copilot을 활용한 AI 생성 이미지(사진=뉴스후플러스)

소방차가 경적을 울리며 화재 현장으로 달려가는 모습을 본 사회부 기자는 요즘 소방공무원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고 평가한다. 반면 과학부 기자는 소방차 출동 횟수가 현격히 낮아졌다는 자료를 바탕으로 소방 공무원의 防護(방호) 활동의 성과가 높다는 주제로 特輯(특집) 기사를 쓸 수도 있다. 불을 끄는 放火(방화)가 아니라 예방하는 防護(방호)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이처럼 기자는 자신의 판단과 전공, 개인적 소신에 의하여 같은 사안에 대해서도 "술이 반병 밖에, 술이 반병이나"라는 2개의 기사를 쓸 수 있고 편집부 기자는 이 기사를 바탕으로 "折半(절반)의 失敗(실패)"라는 제목과 "절반의 成功(성공)"이라는 참으로 애매모호한 제목을 창조해 내는 것이다.

반면 행정은 늘 90% 이상의 성과를 올려야 하는 宿命(숙명)적 과제를 지니고 있다. 일단 일을 시작하면 6월 말에는 50%를 달성해야 하고 11월 말에 95%의 진도를 끌어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공무원으로서 기사에서 指摘(지적)을 받을 때 힘든 경우도 있다. 부서나 공무원 개인이 창의적으로 새로운 업무를 발굴하여 지난 2월부터 열심히 추진하고 있는데, 언론으로부터 그 일이 70%밖에 진도를 나가지 못하고 지지부진하다는 비판 기사를 맞았을 때이다. 차라리 이 일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기사 날 일도 없었을 것이니 말이다.

일하지 않으면 비판 기사도 없는 것이다. 매일매일 기사를 올려야 하는 기자로서는 공무원의 속마음까지 다 읽어내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래도 공무원은 열심히 일하고 새로운 일을 발굴하여 국민을 행복하고 편안하고 행복하도록 힘써 勞力(노력)해야 한다. 언론도 공무원에게 走馬加鞭(주마가편)의 심정으로 크고 작은 비판을 하여 주기를 바란다.

강원도 속초에서 출발하는 활어 수족관 속에 상어 새끼 한 마리를 넣어주면 활어 횟감 물고기들이 태백산맥을 넘을 때도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어를 피해 수족관 안을 빙빙 돌면서 노량진 수산시장까지 활발하고 쌩쌩한 상태로 배송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가슴에 새겨 본다.

▣이강석 작가 프로필

▲1958년 경기도 화성시 출생 ▲경기대학교행정대학원(석사) ▲공무원·공직에 45년간근무(경기도청, 화성·동두천·오산·남양주 시청 등) ▲문교부장관·내무부장관 표창, 대통령표창, 홍조근정훈장 ▲일반행정사, 사회복지사, 효지도사, 인성교육지도사 ▲출간: '공무원의 길 차마고도(2017)’‘홍보 이야기_기자 공무원 밀고 당기는(2020)’‘보리차 냄새와 옥수수 향기(2020)’‘여행의 여유(2023)’‘경기도 화성시 비봉노인대학(2024)’ 등

저작권자 © 뉴스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