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이후 2000년까지 언론인의 취재 방법은 다양했다. 자료를 요청하여 내용을 검토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다른 이해당사자의 주장을 첨가하여 기사를 완성한다.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방송기자의 경우는 화면이 중요하므로 은밀하게 화면을 만들 수 있다. 즉 몰래카메라가 있다.

평소 친밀한 관계에 있는 기자가 정색하고 목소리를 곧추세워 업무에 관해 묻는다면 녹음일 수 있다.

방송기자가 사무실에 왔는데 테이블에 올린 카메라의 센서 바늘이 툭툭 튀고 있다면 지금 녹취되고 있는 것이고 카메라 렌즈가 무엇인가를 촬영하고 있다.

몰카에 의한 보도 내용을 보면 신발, 구두, 빈 의자 등이 주인공이 된다. 당시에도 소형 녹음기나 특수 장비가 많았을 것이다.

두유 업계를 뒤흔든 오산 잔다리마을 두유 홍보에서도 서울의 초등학교 급식 심의위원이라며 시설을 둘러보고 갔는데 다음날 전화로 취재 동의를 요청했다고 한다. 그럼 찍으러 오시라 하니 어제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로 다 찍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언론인을 만날 때 결정적인 단어를 쓰지 않아야 한다. 아주 정확한 발음으로 원론적인 이야기만 하라는 말이다. 사정하지도 말고, 부탁하지도 말고 더구나 변명해서도 안 될 일이다.

Microsoft Copilot을 통해 생성된 AI 이미지(사진=뉴스후플러스)
Microsoft Copilot을 통해 생성된 AI 이미지(사진=뉴스후플러스)

지금 추진하고 있는 업무에 대해 말하고 국민이나 업체를 비판하여서는 안 된다. 민원인의 억지가 있더라도 상대편에서는 그렇게 주장하시는 것이고 우리는 이렇게 판단한다고 설명하면 된다.

몰카에 걸리는 줄도 모르고 전화 통화를 하였는데 다음 날 아침 뉴스에 자신의 목소리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음성변조를 하였다 해도 자신의 목소리는 그 느낌이 오는 법이다. 그동안 3번 정도 목소리 출연을 한 바 있는데 매번 객관적인 사실만 이야기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반복되는 말이겠으나 언론인의 취재가 끝나고 보도되고 나면 더 이상 이 건에 대한 논쟁은 필요하지 않다. 쿨하게 받아들이고 다음을 기약하면 된다. 기자들도 업무상 비평 기사를 쓰는 것이지 그것이 재미있어서 그리하는 것 아닌 줄 알아야 한다.

그러니 한번 비판 기사를 쓰면 다음번에는 홍보 기사를 만들어 낼 마음의 준비를 할 것이니 그 타이밍을 잡아서 우리 부서의 좋은 일을 홍보하는 기회로 삼으면 된다. 오르고 내리는 경제 사이클 처럼 홍보 기사와 비판 기사가 공존하는 언론시장의 특성을 잘 활용해야 한다.

▣이강석 작가 프로필

▲1958년 경기도 화성시 출생 ▲경기대학교행정대학원(석사) ▲공무원·공직에 45년간근무(경기도청, 화성·동두천·오산·남양주 시청 등) ▲문교부장관·내무부장관 표창, 대통령표창, 홍조근정훈장 ▲일반행정사, 사회복지사, 효지도사, 인성교육지도사 ▲출간: '공무원의 길 차마고도(2017)’‘홍보 이야기_기자 공무원 밀고 당기는(2020)’‘보리차 냄새와 옥수수 향기(2020)’‘여행의 여유(2023)’‘경기도 화성시 비봉노인대학(2024)’ 등

저작권자 © 뉴스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