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은 지속적으로 중앙 지향적이다. 경기도 내 지방 언론인으로 들어와 중앙 방송국의 간부가 된 경우가 있고 중앙 신문사 부장급이 된 사례도 많다.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같은 지방지 간에도 많은 언론인들이 오가고 신문기자가 방송으로 가고, 방송기자가 신문으로 통신으로 인터넷신문으로 자리를 이동한다.

경쟁사 기자로 건너가서 승승장구하는 케이스도 더러 있다.

잘 아는 K 기자는 지방지에서 장기근속 후 경제지에 있다가 다른 지방사에서 다시 최초 근무하였던 회사에 복귀한 때도 있었다.

그룹 이동의 경우도 있는데 이는 아마도 끈끈한 선후배의 정으로 뭉쳐진 독수리 5형제의 경우로 보아야 한다. ‘우리는 함께 간다’인 것이다.

언론사 에이스로 활동하다가 퇴직한 후 다른 신문사 부국장으로 가는 코스는 마치 공무원이 정년을 앞두고 산하기관 본부장으로 가는 경우와 유사하다. 젊은 시절 신문사 차장 부장을 거쳐 국장을 하신 분들이므로 언론에 대한 경륜을 최대한 활용할 기회를 얻는 것이다.

공무원은 내부 인사 숨통을 열기 위해 정년 2년 전에 산하기관에 가서 경험을 발휘하고 퇴직하도록 하는 제도를 운용해 왔다. 이를 요즘에 언론에서 '관피아'라면서 비판한다.

세파 속에 흔들리며 나누는 말 중에 외할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거나 외삼촌 소에서 이윤 남기지 않으면 소 장수 돈벌이할 곳이 없다고 했다. 장사가 이익을 추구하는 데는 친척조차 고려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모든 언론인에게 하고픈 말은 아니지만 가끔은 사무실 책상 위 중요 자료를 임의로 가져가 특종을 때리니, 공무원들은 자료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말을 조심스럽게(?) 꺼내본다.

見物生心(견물생심). 공무원 책상 위에 놓인 5단에 충분히 기사 자료가 보이는데 그 자료를 보고 외면하라 할 수 있겠는가? 미국의 정의로운 언론인, 기자처럼 '국익을 위해서라면' 특종으로 취재한 자료조차 영원히 땅속에 묻고 가는 시대가 대한민국에도 반드시 찾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져본다.

물론 우리 사회에서 그동안 미국 기자 이상으로 국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언론인이 많고 회고록조차 쓰지 않은 분이 다수일 것이라고 확신하는 바이다.

언론의 기본 기능은 비판이다. 그래서 구조적으로 좋은 이야기는 보도되기 어렵다. 재벌의 1억 기부는 1단 기사도 어렵지만 김밥 할머니 장학금 1천만 원은 3단을 넘을 수 있는 것은 언론만이 가진 특성일 것이다. 아마도 경제 논리가 가장 낮게 적용되는 곳이 언론시장이다. 성악설이 먼저 적용되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곳의 기자들은 가장 착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되 그중 위험한 부위에 대해 집중적인 ‘간자미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본다. 동해 해안에 배로 도착한 후 마차에 실려 출발한 안동 고등어가 숙성되다가 부패 직전으로 가는 타이밍이 있다고 한다.

Microsoft Copilot을 통해 생성된 AI 이미지(사진=뉴스후플러스)
Microsoft Copilot을 통해 생성된 AI 이미지(사진=뉴스후플러스)

영덕에서 출발한 고등어가 황장재에 이를 즈음, 영해를 출발해 창수재에 도착하였을 때, 그리고 울진에서 출발하여 주령에 이르면 소금을 뿌려야 한다.

이 작업을 하는 이를 간자미라 하는데 미숙한 간자미나 보통 사람이 소금을 뿌리면 고등어가 쉽게 상해 버린다고 한다. 간자미 기술의 핵심은 상하기 쉬운 부위에 소금을 많이 뿌리고 다른 부분에는 적게 뿌리는 손가락의 강약 조절 장치이다. 무조건 소금을 뿌려대면 숙성된 고등어의 맛을 잃게 되고 소금기가 부족하면 상품 가치가 떨어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회의 公器(공기)이며 부패를 막는 소금이라 칭송되는 언론인들이 부패하기 쉬운 사회의 이곳저곳에 소금을 뿌리는 역할을 잘 해주기를 바란다.

그리고 마음과 함께 혹시 傷處(상처) 부위에만 또다시 소금을 뿌리는, 이른바 '염장을 두 번 지르는'일은 없거나 그런 상황을 최소로 줄여 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강석 작가 프로필

▲1958년 경기도 화성시 출생 ▲경기대학교행정대학원(석사) ▲공무원·공직에 45년간근무(경기도청, 화성·동두천·오산·남양주 시청 등) ▲문교부장관·내무부장관 표창, 대통령표창, 홍조근정훈장 ▲일반행정사, 사회복지사, 효지도사, 인성교육지도사 ▲출간: '공무원의 길 차마고도(2017)’‘홍보 이야기_기자 공무원 밀고 당기는(2020)’‘보리차 냄새와 옥수수 향기(2020)’‘여행의 여유(2023)’‘경기도 화성시 비봉노인대학(2024)’ 등

저작권자 © 뉴스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