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실이나 홍보실에 근무하고 있다면 이 글을 읽으시고 몇 가지 고민을 해결하고 마음 편안하게 술 한 잔 드시기를 바란다.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경기도청과 공공기관에서 45년간 공직생활을 마치고 2019년 1월 말에 퇴직한 이강석 작가​. 전 경기 남양주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혹시 운명적으로 어느 날 홍보부서에 근무하게 된다면 그때 가서 참고해 작은 고민 한두 가지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공보 공무원이 아니고 회사의 홍보실 직원이 아니어도 이글에 나오는 주법을 읽고 그동안 주석에서 고민한 3가지 정도의 갈등을 풀어내기를 소망한다.

여기에서 드리고자 하는 이야기는 공직 근무 중에 만난 언론인과 그 현장에서의 기억과 느낌과 감동과 아픔을 적은 내용이다.

언론 전문가의 글이 아니고 언론 현장에서의 고민을 바탕으로 적어둔 글이다. 현장에서 보고 어깨 너머로 바라보면서 공무원이 힘들어하는 언론, 언론인들이 불편해지는 공무원에 대한 견해를 필기했다.

공감하지 못하거나 때에 따라 반대의 관점도 있을 것이다. 그런 문제점이 발견되는 경우 알려주시면 깊이 반성하고 더 고민하고 의논해서 대안을 찾아가겠다. 거대한 언론 현장에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바탕으로 적어낸 글이니 정답은 아니고 경험담이다.

하지만 언론의 한편만 바라보는 일반 부서 공무원으로서는 그 속의 치열함을 알기 어렵고, 산기슭에 세워진 텐트를 바라만 보아서는 그 속에서 밥을 하는지 라면을 끓이는지, 아니면 또 다른 엄청난 비밀 작업을 하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ChatGPT(DALL·E) 생성 이미지 (OpenAI)(사진=뉴스후플러스)
ChatGPT(DALL·E) 생성 이미지 (OpenAI)(사진=뉴스후플러스)

바다와 강물의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지점에 다양한 어종이 모이므로 이곳에 자리 잡은 어부는 만선의 기쁨을 누리게 된다. 더구나 강이 바다로 진입하는 하구에서는 소금물에 사는 바닷고기와 강물에 사는 민물고기, 그리고 강과 바다를 넘나드는 연어, 장어 등 고급 어종을 만날 수 있다.

언론의 장은 공무원의 시각, 기자의 입장, 언론사의 사시, 그리고 우리 기관의 홍보 전략이 오일장 장돌뱅이의 경험으로 꾸준히 모이고 파도처럼 펼쳐지는 페스티벌의 현장과 같다.

어물전에서 큰 고기, 작은 고기, 가시고기, 횟감, 매운탕거리 등 다양한 어종이 거래되듯이 언론과 행정 간에도 크고 작은 사건이 펼쳐지고 상호 간의 밀당 전략이 있다. 엿장수 마음대로 엿을 팔기도 하고 마트에서는 정찰제라며 바코드 금액대로 거래하자 한다.

거대한 언론과 행정과 경영의 소용돌이 속에서 1년에 한두 번 진정스러운 엿장수를 만나기도 한다. 엿장수가 엿을 주고받아 가는 쇠붙이 속에는 금과 은이 들어있기도 한다. 상평통보, 화초장, 고려청자, 상감청자가 엿 조각과 교환되기도 한다.

혹시 저만의 표현으로 난해한 경우가 있다면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기를 바란다. 그대로 쓰면 언론인에게 미안하고 약화해서 표현하니 공무원, 회사원, 독자들의 이해를 돕지 못한다.

그런 일이 생기거든 25도짜리 소주한병 사들고 경기도청이 2020년까지 서 있었던 팔달산 중턱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주기 바란다. 20도 소주는 안되고 반드시 25도 두꺼비 술이라야 한잔하면서 "캬~~"소리 세번 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