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외환시장협의회 소속 9개 사 외환 담당자 만나 회의
환율 급등세 주범 '대미 투자'↑…환전 시스템 점검·개선안 모색
외환당국이 환율 급등세에 증권사들도 소집했다. 이른바 ‘서학개미’의 미 증시 투자를 급등 원인으로 여기고, 이에 대한 환전 시스템 점검과 개선안을 모색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25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 외환당국은 지난 21일 외환시장협의회 소속 9개 증권사 외환 담당자들과 비공개회의를 했다.
당국은 앞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수출기업과 국민연금과도 만나 외환 수급 개선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최근 환율 급등세 원인이 국내 투자자들의 대미 투자 수요로 지목된 만큼 외환 시장 안정화에 총력전을 걸겠다는 의도다.
회의 핵심은 서학개미 급증, 증권사 통합증거금 제도로 알려졌다.
실제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순매수 규모는 지난달 68억달러(우리돈 약 10조원), 이달 들어서도 45억달러(약 6조6300억원)를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증권사들은 밤사이 고객 거래를 합산해 부족한 달러만 서울 외환시장 개장 직후(오전 9시)에 일괄 매수하는데, 대다수 증권사들이 일정 시간대에 주문함에 따라 환율이 급등하는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외환당국은 회의에서 이러한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시장평균환율(MAR) 활용 혹은 실시간 환전 확대 등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장 직후 등 특정 시간대가 아닌 하루 평균 가격으로 정산하거나, 주문 즉시 환전해 수요를 분산하라는 취지다.
다만, 회의에 참석한 증권사 관계자들은 이종통화 적용 문제, 결제시차(T+1) 마찰, 단타 투자자의 비용 증가 가능성, 야간 환전 리스크 등 현실적 제약을 이유로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